layout_info->LAYOUT_TYPE=='SUB_PAGE'">
정책자료
- 자료실
- 정책자료
공중이용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확대
신창현 의원, 장애인 편의증진법 개정안 대표발의
에이블뉴스, 기사작성일 : 2018-01-02 14:12:55
장애인 편의시설을 면적 300㎡ 이하의 공중이용시설에도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됐다.
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은 이 강은 내용의 장애인·노인·임산부 등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.
현행법은 바닥면적인 300㎡ 이상인 음식점, 제과점, 상점, 학원, 도서관, 운동시설 등 공중이용시설에 대해서만 장애인, 노인,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.
하지만 일반음식점의 95.8%, 제과점 99.1%, 식료품 소매점 98%가 편의시설 설치 의무가 없다(국가인권위원회, 2014). 반면 장애인, 노인, 임산부는 300㎡ 이하의 소규모 시설인 식당, 상점, 운동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.
이에 편의증진법 개정안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사업장 면적 기준을 300㎡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.
신 의원은 “동네 식당, 제과점, 편의점 등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자유롭게 식사하고 물건을 살 수 있어야 한다”고 밝혔다.
-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(ablenews.co.kr)-
-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·ablenews@ablenews.co.kr-
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은 이 강은 내용의 장애인·노인·임산부 등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.
현행법은 바닥면적인 300㎡ 이상인 음식점, 제과점, 상점, 학원, 도서관, 운동시설 등 공중이용시설에 대해서만 장애인, 노인,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.
하지만 일반음식점의 95.8%, 제과점 99.1%, 식료품 소매점 98%가 편의시설 설치 의무가 없다(국가인권위원회, 2014). 반면 장애인, 노인, 임산부는 300㎡ 이하의 소규모 시설인 식당, 상점, 운동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.
이에 편의증진법 개정안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사업장 면적 기준을 300㎡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.
신 의원은 “동네 식당, 제과점, 편의점 등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자유롭게 식사하고 물건을 살 수 있어야 한다”고 밝혔다.
-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(ablenews.co.kr)-
-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·ablenews@ablenews.co.kr-
최석범 기자 (csb211@ablenews.co.kr)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공지 | 2018년 달라지는 주요정책에 대한 기획재정부 발표자료 | 2018.01.10 | 426 |
공지 | 내년도 주요 장애인예산 1645억원 증액!! | 2015.11.18 | 431 |
공지 |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설립 예산 희망 봇물 | 2015.11.04 | 422 |
공지 | 공공부문 장애인고용 외면, 부담금 197억원 | 2015.10.30 | 409 |
36 | 개발원 ‘장애인 직업훈련수당’ 소폭 인상 | 2018.03.08 | 213 |
35 |
2018년부터 바뀌는 청주시 보건복지 관련제도
![]() | 2018.01.25 | 180 |
34 | 장애인 고용 안하면 1명당 157만3770원 부담 | 2018.01.15 | 180 |
» | 공중이용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확대 | 2018.01.08 | 197 |
32 | 장애등급제 폐지 이행 법률안, 본회의 통과 | 2017.12.04 | 103 |
31 | 文대통령, 장애인연금·일자리예산 통과 요청 | 2017.11.01 | 107 |
30 |
내일부터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![]() | 2017.10.31 | 126 |
29 |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2021년까지 30만원으로 인상 | 2017.10.13 | 125 |
28 | 복지부, 기초연금 내년 4월부터 25만원 지급 | 2017.09.04 | 123 |